*균형이론(Equilibrium Theory) 

균형(Equilibrium): "An equilibrium is a constellation of selected interrelated variables so adjusted to one another that no inherent tendency to change prevails in the model which they constitute.” (by F. Machlup, 1958)

- 선택된 서로 관련있는 변수들이 변화를 일으키는 내재적 성향을 갖지 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상태

- 즉, 변화하려는 경향이 없는 상태 / 변화유인이 없는 상태 = 균형

- 균형분석 Equilibrium analysis = 정태분석 static analysis


1) 일반균형이론(General Equilibrium Theory)

 왈라스(L. Walras)에 의해 이론화된 것으로 개인, 기업체 등의 경제주체가 각각 효용극대화(개인은 효용의 극대화, 기업은 이윤의 극대화) 행동을 하면 생산물 및 생산요소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된다는 조건 아래서 모든 경제변수의 값이 일괄적으로 정해진다는 것이다. 즉 경제체계는 전체로서 조화가 유지되고 각 경제변수는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.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경제체계가 하나의 연립방정식으로 표시된다. 이와 같은 체계를 가정함으로써 경제의 제 측면이 분석된다. 일반적인 거시경제모델이나 산업연관분석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. 


2) 부분균형이론(Partial Equilibrium Theory)

부분균형이론은 각각의 생산물 또는 생산 요소의 균형에 주목한 것이며, 이 경우 다른 조건은 일정하게 보고 분석한다.

부분균형분석은 다른 시장상황이 일정하게 주어져 있다고 가정, 다른 경제부문들은 무시하고 특정 경제부문 하나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, 부분균형분석은 개별 부문의 특징적인 현상을 파악할 수 있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장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고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. 



출처: https://www.facebook.com/officialKOICA/posts/oda-%EC%9A%A9%EC%96%B4-%EC%84%A4%EB%AA%85%EA%B7%A0%ED%98%95%EC%9D%B4%EB%A1%A0equilibrium-theory-%EC%9D%BC%EB%B0%98%EA%B7%A0%ED%98%95%EC%9D%B4%EB%A1%A0%EA%B3%BC-%EB%B6%80%EB%B6%84%EA%B7%A0%ED%98%95%EC%9D%B4%EB%A1%A0%EC%9D%B4-%EC%9E%88%EB%8B%A4-%EC%9D%BC%EB%B0%98%EA%B7%A0%ED%98%95%EC%9D%B4%EB%A1%A0%EC%9D%80-%EC%99%88%EB%9D%BC%EC%8A%A4l-walras%EC%97%90-%EC%9D%98%ED%95%B4-%EC%9D%B4%EB%A1%A0%ED%99%94%EB%90%9C-/256093244487578/

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4984&cid=43659&categoryId=43659

+ Recent posts